한국 축구 전설의 포백라인..

그 중심에 이영표와 송종국, 그리고 차두리와 김동진이 있었다!

 

2002 한일 월드컵 4강 신화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는 지금 생각해도 가슴이 뭉클한 추억이 되고 있다.

분위기도 그랬고 투지와 열정도 그러했다.

 

그때 우리가 그렇게 영예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행운도 따라줄만큼 열심히 준비하고 뛰었기 때문이지만, 이런 감상적인 측면 외에 실질적인 우리팀의 경기력도 놀라웠다.

 

지칠줄 모르는 체력, 철저한 협력 수비를 바탕으로 한 압박, 견고한 수비력..!

그래서 우리는 4강 팀 중에서 가장 적은 득점으로도 이러한 기적을 일으켰던 것이다.

 

당시 홍명보, 김태영, 최진철 쓰리백 수비라인은 모두 노장들이었다.

이들이 은퇴는 이미 예정된 바였기 때문에 향후 대표팀의 수비라인이 큰 걱정거리였다.

하지만, 이후 대표팀은 마침내 포백라인 구축에 성공했고 센터백의 무게감은 2002 세대에 비해 다소 떨어졌지만, 그나마 안정된 수비라인 구축에 연착륙 했다.    

   

이영표, 송종국, 김동진, 차두리가 그립다 

 

이영표가 드리블하는 모습
한국 축구 최고의 레프트 윙백 이영표

  

그러한 원동력은 좌우 윙백인 이영표, 송종국, 김동진, 차두리 등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송종국이 부진했을 때는 김동진이 있어 좌측을 담당했고 이영표는 우측으로 이동했다.

김동진이 부상 후유증으로 좌초됐을 때 차두리는 수비수로 변신하여 돌아왔다.

 

그리고.. 그 뒤로 맥이 끊겼다.. 윙백의 계보가 사라진 것이다.

 

위의 윙백들이 완벽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만큼 위치가 너무 견고했던 탓일까? 

이들을 대체할만한 선수가 없는 것일까?

최근 대표팀 경기를 보면 윙백포지션의 선수들이 늘 바뀌었다.

그나마 오범석의 경험이 가장 많은 편인데 초기에 발탁되었을 때 일본전에서 보여주었던 기량이나 투지가 갈수록 떨어진 느낌이다.

 

그렇지 않아도 불안한 포백 수비라인에 포지션 멤버 또한 수시로 바뀌다 보니 팀 플레이가 완성되기 힘들다. 

올림픽을 통해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줬던 윤석영, 김창수도 벤치멤버 전락과 군입소 및 부상 등으로 A대표팀에서는 기용조차 된 적이 없다.

 

수비 불안은 곧 최강희 감독이 본인의 팀컬러를 제대로 구축하기 힘든 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할 것이다.

 

윙백은 가장 많이 뛰어야 하는 포지션이면서 요구받는 오더 또한 한 두가지가 아니다.

수비의 안정은 기본이고 미드필드에서의 간격 유지, 협력 수비는 물론 공격 전환시 오버래핑과 정확한 크로스 능력..

현대 축구에서 윙백의 역할과 비중은 이처럼 대단하다.

 

우리 대표팀의 목표가 단지 월드컵 본선 진출만 아닐 것이다.

2002년에는 월드컵 첫 승을 기록하며 4강을 이루었지만 안방에서 이룬 기적이었다.

그러나 2006년 독일월드컵에서는 원정에서 첫 승을 거두었고 2010년에는 원정 16강을 이루었다.

브라질 월드컵 본선에 대한 기대치는 최소한 2R 진출 이상이 되지 않겠는가?

더구나 유럽파를 비롯해 유능한 선수들이 이처럼 많았던 시기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건 잘 모르겠지만,, 포백라인만은 안정됐으면 좋겠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